기쁨이 2배가 되는 마법

은퇴 자금 평균적으로 얼마나 필요할까? # 퇴직자금 # 은퇴4% 규칙이란? # 개인연금 사견 본문

[curiosity] 사회, 호기심, 정보보안/△ 궁금한 이야기

은퇴 자금 평균적으로 얼마나 필요할까? # 퇴직자금 # 은퇴4% 규칙이란? # 개인연금 사견

하하하당크 2023. 2. 21. 22:53
반응형

젊은 사람들은 하루 빨리 퇴직해서 놀고 쉬고싶고

은퇴하는 사람들은 막상 은퇴하려니 돈이 그렇게 놀 정도로 충분하게 많지는 않기에 단순히 연명하며 집에서 아무것도 안하고 있을바에야 빨리 죽는다고 차라리 일하는 게 낫다고 한다

참 아이러니하다.

젊은 사람에게는 먼 훗날의 일인 것 같지만 모든 일들이 오지 않을 것 같지만 언젠가는 또 시간이 지나고 오게된다.

서론은 뒤로하고 본론은
은퇴자금에 대한 연구이다.

은퇴 4%규칙이라는  논문이 있다.



은퇴 4% 규칙

은퇴 4% 규칙은 은퇴 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매년 4% 정도를 인출하여 일정한 수입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규칙은 William Bengen이 1994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으며, 이후 많은 재무 전문가들이 이 규칙을 참고하여 은퇴 자금을 계획합니다.

이 규칙은 투자 수익률과 생활비 상승률을 고려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투자 수익률은 7% 정도, 생활비 상승률은 3% 정도로 계산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자산에서 4% 정도를 매년 인출하면, 은퇴 후에도 일정한 수입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1억원의 자산이 있다면 매년 4%의 4백만원을 인출하여 일정한 수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규칙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법칙이 아닙니다.

개인의 생활비, 자산 구성, 은퇴 시점 등에 따라 필요한 자금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 수익률과 생활비 상승률이 예측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에는 규칙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음, 은퇴 4프로의 규칙은 투자 수익률을 7프로 이상 낸다는 가정이 필요한데

그 부분에 있어서 모든 사람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나 포함)

7프로는 고사하고 현실은 1~2프로 혹은 마이너스일테니 말이다.

조금 더 현실적인 방법은

아마도 개인연금 일 것이다... ㅠㅠ

개인연금 수령은 55세부터 ~ 65세 중 수령 시기와 수령금액을 정할 수 있다.

물론 물론 개인이 차곡히 입금한 개인연금 금액에 따라 다르다...

조금 더 색다른 방법을 찾아보아야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