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iosity] 사회, 호기심, 정보보안/△ 궁금한 이야기

니콜라 테슬라와 숫자 3, 6, 9는 우주의 열쇠 번호인가?

하하하당크 2023. 8. 11. 16:04
반응형
천재들의 사고에는 망상, 광기에 가까운 비약이 있다.

희대의 천재 과학자 니콜라 테슬라 또한 그에 속하는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업적은 무궁무진하였고 현대과학으로서는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는 위대한 기술을 많이 발명하였습니다.

 

이런 그는 숫자 3, 6, 9에 대한 집착성이 아주 강하였고

 

3, 6, 9는 아주 중요하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니콜라 테슬라?

니콜라 테슬라는 우리가 상상하기도 어려운 위대한 발명을 하였습니다.

 

그는 1856년 7월 9일 오스트리아 태생이며

미국으로 건너와서 전기의 교류와 전류, 무선통신, 전기 모터, 고주파, 안테나 등 무궁무진한 발명을 하였습니다.

 

8개 국어를 하는 천재이며 얼굴도 잘생기고 언변도 좋고 키도 188CM에 옷도 잘 입어서

주변에서 인기가 많았다고 합니다.

 

음악과 시에도 조예가 깊었다고 합니다.


쿼크 가설, 무한 전기 등 그의 업적은 외계의 문물이라고 불릴 정도로

놀랍고 비범한 인물인데요.

 

그가 사망했을 때 남긴 다양한 연구 노트들을

FBI가 전부 들고와서 가져갔다고 할 정도입니다.


그는 연구에 심취한 진정한 과학자였고 비범한 능력에 비해 소박했다

그는 하루에 2시간만 자고 연구를 했습니다.

 

(비록 2시간만 취침하였지만 86세까지 살았다고합니다.)

 

진주와 보석은 자신에게 산만성을 주기에 싫어했고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기적으로 주고 다친 비둘기를 고쳐주었다고 합니다.

 

동그란 물체가 주위에 있는 것을 견디지 못했고

 

다른 사람의 머리카락을 만지는 것을 싫어했습니다.


 

테슬라 발전기

테슬라의 위대한 발명 중의 하나로 '테슬라 발전기'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특정한 공명 주파수에 의해 건물이나 땅을 흔들리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건물이나 땅을 뒤흔드는 파괴성 때문에

테슬라는 개발한 발전기를 본인이 직접 망치로 부숴버렸다고 합니다.


 

JP모건과 테슬라의 '워든 클리프 타워'

그는 1900년에 미국 투자자 JP모건에게 요청 편지를 여러장 보냈습니다.

 

그는 대서양을 넘어서 장거리까지 막대한 양의 전기를 보내는

'워든 클리프타워'를 건축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이로서 JP모건과 함께 도시의 에너지 발전에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었지만

 

계획이 중간에 중단되어 막대한 빚을 지게 되었습니다.

 

그 에너지 기술이 실현되면 금융자본, 석유자본에 방해가 되었기에

투자를 철회했다는 일부의 시각도 있습니다.


 

그는 현재 우리 인간들이 눈으로 보지 못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시세계에 대한 관심이 많았습니다.

 

게다가 수비학에서도 아주 중요시 되는 이 3, 6, 9에 집착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니콜라 테슬라의 숫자 3, 6, 9

 

그는 생활습관에서 항상 3을 유지하였습니다.

 

그는 식사를 먹기 전 포크의 정확한 음식, 컵,  접시의 부피를 계산했습니다.

 

항상 접시를 18개의 냅킨으로 닦았습니다.

* 18 = 3X3X3

 

하루에 2시간만 자던 그는

 

오전 9시에 일 시작하고 정확히 6시 10분에 일을 마쳤고

 

식사 후 새벽 3시까지 계속 일을 했습니다.

 

오로지 방 호수가 3으로 나누어지는 호수 방만 투숙하였고

 

건물을 들어가기 전 그 건물을 3바퀴 돌고 건물에 들어갔고

이후에 건물에 들어가서는 꼭 손을 3번 씻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그는 모든 사물이나 환경에서 3으로 나누어지는 조건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의사들은 자폐스펙트럼 강박증이라고 평가하거나

제3자는 정신질환으로 보는 경향도 있었습니다.

 


숫자 3, 6, 9와 수비학, 프리에너지 비밀 열쇠

수학은 언어라고 합니다.

 

모든 물질은 수학으로 이루어져 있고

심지어 태풍, 은하 등 모든 자연은 3겹 혹은 6겹의 대칭을 이용합니다.

 

피라미드도 삼각형이고

기독교 삼위일체도 3입니다.

 

어쩌면 미신같은 소리에 가깝지만

신성한 숫자 이론이라는 말도 있지요.


 

3, 6,9는 무한급수와 관련되며

이 숫자들은 에너지가 수학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9는 가장 중요한 완성에 가까운 숫자라고 합니다.

 


니콜라 테슬라 그는

과학이 비물질적 현상을 연구하기 시작하는 날이 오면 전에 존재했던
모든 세기들보다 10년 안에 더 많은 진보를 이룰 것이다

라고 언급했습니다.

 

 

 

반응형